일정 | 시간 | 프로그램 | 장소 |
---|---|---|---|
4.12.(토) | 09:00/14:00 | 유배문화길 투어 | 장기면 일대 |
13:30 ~ 16:30 | 백일장&사생대회 | 장기읍성 일대 | |
11:00/13:00/14:00/15:00 | 유배문화체험촌 탈출 게임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
4.19.(토) | 13:30 ~ 14:00 | 백일장&사생대회 시상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장기주막 (국밥 등) 장기특산물 상설 운영 |
14:00 ~ 16:00 | 토크콘서트 | ||
10:00 ~ 17:00 | 체험프로그램 장기의 장기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
13:00 ~ 17:00 | 교육프로그램 장기in 유풍 |
장기읍성, 장기향교 | |
4.20.(일) | 09:00/14:00 | 유배문화길 투어 | 장기면 일대 |
유배 문화길 투어 | |
---|---|
프로그램 명 | <유배지에서 보낸 어느 날> |
일시 | 2025. 4. 12.(토) 09:00, 14:00 2025. 4. 20.(일) 09:00, 14:00 |
장소 | 장기읍성, 죽림서원 터, 모포항 등 |
참여신청 | 사전접수(회차당 30명) |
백일장&사생대회 | |
---|---|
프로그램 명 | <책을 매고 쪽물을 들이다> |
일시 | 2025. 4. 12.(토) 13:30 ~ 16:30 |
장소 | 장기읍성 일대 |
주제 | 현장 발표 |
내용 | 초 · 중등부 백일장 유 · 초 · 중 · 고등부 사생대회 |
시상 | 2025. 4. 19.(토) 13:30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참여신청 | 사전접수(각 100명) |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는 장기유배문화체험촌 탈출게임 | |
---|---|
프로그램 명 | <장기, 파서블(possible)> |
일시 | 2025. 4. 12.(토) 11:00, 13:00, 14:00, 15:00 |
장소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참여대상 | 초등이상 |
내용 | 장기 고을에 얽힌 이야기를 ᄄᆞ라 주어진 미션을 완성하는 탈출게임 |
참여신청 | 사전접수(회차당 30명) |
토크콘서트 | |
---|---|
프로그램 명 | <맑은 시대에 자유로운 백성> |
일시 | 2025. 4. 19. (토) 14시 ~ 16시 |
장소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패 널 | 이상준(포항문화원 부원장) 김명기(시인) 김형섭(남양주시 문화관광과 정약용팀장) |
진 행 | 권양우 |
샌드아트영상 | 박해강 |
낭 독 | 이정길, 조성연 |
내 용 |
Chapter 1. 맑은 시대에 자유로운 백성
동해안 지역으로 유배 온 인물에 대한 이야기 Chapter 2. 억지로 눌러 놓은 고향 생각유배객들의 작품 속에 담긴 고향과 가족들에 대한 절절한 마음 Chapter 3. 봄날은 적적한 꽃에 남았네유배객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어떤 일과를 보냈을까? Chapter 4. 노을도 구름도 아닌 보리가 익는 하늘계절을 달리하는 유배지의 자연 풍광과 풍습에 대한 기록들 Chapter 5. 지는 꽃에 기대어유배객들이 남긴 문화적 자산들의 가치와 현대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시간 |
유배문화를 통해 엿보는 선비 육례 | |
---|---|
프로그램 명 | <장기 in 유풍(儒豊)> |
일시 | 2025. 4. 19.(토) 13:00 ~ 17:00 |
장소 | 장기읍성, 장기향교 |
내 용 |
가족이 함께하는 유교문화 체험 프로그램 선비육례란?유교에서 중시하는 예절로, 선비가 갖추어야 할 여섯가지 기본 예법을 뜻함.
예(禮) (예절) 호패만들기, 향교 탐방
서(書) (서도) 엽전을 모아라!_18성현 골든벨 어(御) (마술) 말타기 체험, 마패만들기 사(射) (궁술) 국궁체험, 활의역사 배우기 악(樂) (음악) 전통악기 생황 감상과 김홍도 그림 이야기 수(數) (수학) 이하우 교수님과 함께하는 포항이 낳은 천문도 이야기 [상설] 초빈산방 치유차 시음회, 조선보드게임 승경도 |
장기의 자랑거리 | |
---|---|
프로그램 명 | 장기의 장기(長技) |
시간 | 2025. 4. 19.(토) 10:00 ~ 17:00 |
장소 | 장기유배문화체험촌 |
내 용 |
한 장의 한지 속에 담긴 천년의 이야기
닥나무 주생산지였던 장기에서 전통한지 장인과 함께하는 한지뜨기 체험 옛날 책(古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전통 제본 방식인 <오침안정법>으로 나만의 고서 만들기 돌에 박힌 파란 줄기장기에서만 나오는 뇌록으로 단청 그리기 피터와 함께하는 다산 책방야외 책방에서 만나는 유배가 남긴 문학과 정약용 이야기 촌병혹치 치유차(茶)방미술심리치료사와 함께하는 마음 건강 진단 [상설] 한복체험, 전통놀이 |